지난 3월 경기도 의왕시에서 발견된 수원시 공유자전거 '모바이크' <사진=청취자 제공>
지난 3월 경기도 의왕시에서 발견된 수원시 공유자전거 '모바이크' <사진=청취자 제공>

(앵커)
경기도 수원시의 공유자전거 '모바이크'가 철수를 앞둔 가운데, 경인방송은 앞서 공유자전거 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호응과 아쉬움을 짚어봤습니다.

수원시는 앞으로도 국내 기업과 협약을 맺고 공유자전거 정책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을 밝혔는데요.

전문가들은 공유자전거의 관리와 책임 문제에 지자체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조유송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공유자전거 모바이크에 대해 시민들이 특히 아쉬워했던 점은 관리 소홀에 따른 훼손 문제와 사유화 문제입니다.


모바이크는 비고정형 '도크리스(Dockless)' 시스템으로, 기존 공유자전거와 달리 보관시설이 필요치 않아 자전거를 아무 곳에 세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이 점 때문에 사실상 관리 소홀 문제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제 이용한 공유자전거를 자택 인근에 자물쇠로 묶어 놓고 사용하거나 수원시가 아닌 다른 시·군에서 발견된 일도 다반사입니다.


시는 향후 국내 기업과 협약을 맺어 지금과 같이 거치대 없는 시스템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그러면서 공유자전거의 지속을 위해선 시민들의 시민 의식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 수원시 관계자]
"기존의 도크(거치대)식으로 나간다면 시민들도 혼돈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다 같이 쓰는 자전거이기 때문에 사유화하지 않는 걸 홍보에 중점을 뒀고요"

하지만 전문가들의 입장은 조금 다릅니다.


지속성을 위해선 단순히 시민 의식에만 의존하기보다, 관리 책임에 대한 지자체의 보다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단 겁니다.


[인터뷰 / 김경환 성균관대 글로벌창업대학원 교수]
"결국 비즈니스 모델이라면 돈이 벌려야 하는 거고, 돈을 벌어서 생존을 계속해서 이어갈 수 있느냐. 이게 문제인 거죠. 지자체의 재원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인 건데"


사실상 모바이크의 해외 시장 철수 원인은 적자 때문이란건데, 지자체의 예산이 투입될 수밖에 없다면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생각입니다.


[인터뷰 /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
"시민들의 수요 기반(조사)이 있어야 해요. 어떤 사람이 어떤 시간대에 어디서 타는지. 수요가 있어야 정책이 영속성이 있어요. 왜냐하면 이게 비즈니스 성립이 어렵고 막대한 유지비가 들 거라고 예상되기 때문에"


경인방송 조유송입니다.

지난 4월 경기도 수원시 서호천 한가운데에 버려진 모바이크 <사진=청취자 제공>
지난 4월 경기도 수원시 서호천 한가운데에 버려진 모바이크 <사진=청취자 제공>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