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공급에 기존 국내외 거래처 '올스톱' 위기...늘린 생산설비 '코로나19' 종식 이후 어쩌나?

코로나바이러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바이러스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 이후 마스크 제조 업체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이 절실합니다.

의무적으로 마스크 생산량의 80%를 정부에 공급함에 따라 기존 거래선를 잃은 겁니다.

오늘(28일) 마스크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6일 마스크 생산업체 131곳 중 125개 업체와 공급계약을 맺었습니다.

대부분의 마스크 제조 업체들이 손해를 감수하고 정부의 공적 물량 확보를 돕기 위해 계약한 겁니다.

그런데 마스크 업체들이 한 달 가까이 생산량의 80%를 의무적으로 정부에 납품하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나머지 20%의 마스크로는 기존 거래처 공급물량을 맞출 수 없어섭니다.

더 큰 문제는 거래처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 맺었던 연간 계약이 파기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럴 경우 자칫 계약 위반으로 법적 분쟁에 휘말릴 수 있습니다.

재난에 준하는 상황이기에 위약금을 지불하진 않지만, 코로나19 종식 후 사업을 이어갈 거래처를 찾아야 하는 업체들의 사정은 녹록지 않습니다.

마스크 수출금지 조치 때문에 업체들의 해외 수출 계약마저도 끊겼습니다.

인천 서구에 있는 A 마스크 제조업체 관계자는 "위약금을 물진 않았지만 기존 공급 업체와 거래가 끝나 거래처를 잃은 것이 장기적으로 손실"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정부가 마스크 생산규모를 늘려놓은 것도 마스크 제조 업체들에겐 부담입니다.

국내 마스크 생산 기계가 200대에서 코로나19 사태 이후 430대가 추가돼 2배 이상 늘어난 상황.

이 때문에 당장은 정부와 계약돼 있어 매출에 문제가 없지만, 국내외 거래처를 잃어 코로나19 종식 후의 사업성이 불투명합니다.

또 다른 서구에 B 업체 관계자는 "마스크 업체와 생산 시설이 우후죽순으로 늘어 코로나19 이후 어떻게 관리할지 정부 대책이 없다" 며 "중국 공장에서 마스크가 쏟아지는 것도 걱정"이라고 호소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