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사진 출처=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앵커)

선거 판세를 점치는 여론조사는 숙제처럼 신뢰도에 대한 의문이 따라붙습니다.

실제 여론조사는 누구나 '거짓 응답'이 가능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도 미흡합니다.

'여론조사 이대로 좋은가' 세 번째 순서는 '거짓 응답'에 가려진 여론조사입니다.

한웅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인천 미추홀구에 사는 A씨는 최근 연수갑 어느 후보를 지지하냐는 여론조사 전화를 받았습니다.

본인 선거구가 아니지만 A씨는 평소 지지하던 정당 후보자를 뽑겠다고 응답했습니다.

[인터뷰 / 해당 여론조사기관 관계자]
"구 단위를 넘어갈 수도 있어요. 왜냐면 접경지역이거나, 기존의 쓰던 KT 번호를 그대로 쓰는 지역이 많다 보니깐. 그럴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이처럼 여론조사는 응답자의 성향에 따라 얼마든지 '거짓 응답'이 가능하다는 허점이 있습니다.

실제 지난해 10월 한국통계학회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자동응답조사(ARS)의 일치율은 성별 91%, 지역 86%, 연령대는 70%에 불과합니다.

여론조사 결과를 심의하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됩니다.

보도를 전제로 한 여론조사는 모두 여심위의 심의를 받지만 '거짓 응답'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는 구조입니다.

여심위는 현재 기준에 맞는 여론조사에 대해선 먼저 공표를 허용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문제가 발견될 경우 조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관계자]
"그렇게 하려면 조사에 대한 원자료나 모든 데이터를 저희가 제출받아야 하는 데. 현실적으로 그 모든 자료를 제출받아서 저희가 실제로 (여론조사 기관이) 얘네가 조사한 결과가 이 수치가 나오는지 모든 조사를 확인하지는 않고요."

이번 21대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해 모두 837건의 여론조사가 공표됐지만 이중 여심의 지적을 받은 건 7%인 58건뿐입니다.

보도 불가 판정을 받은 여론조사는 9건으로 1% 수준입니다.

전문가들은 각각의 여론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인터뷰 / 박헌진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교수]
"어떠한 회사도 결과가 나왔을 때 페널티를 받지 않거든요. (응답이) 맞는지 틀리는지 모르잖아요. 선거 결과가 나왔을 때는 벌써 2주 뒤 얘긴데. 그동안 변했다고 하면 (실제) 변했는지 안 변했는지에 대한 어떤 명확한 근거를 찾기가 쉽지 않죠."

선거 판세를 좌우하는 여론조사.

정작 여론조사 기관을 감독하는 여심위의 역할은 사실상 실종된 모습입니다.

경인방송 한웅희입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