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티포트 구축·보완절차 수립·UAM 특별법 제정도 시급

지난 16일 영종도에서 열린 'K-UAM 콘펙스'에서 관람객들이 현대차의 UAM 콘셉트 모델을 구경하고 있다. <사진=김혜경 기자>
지난 16일 영종도에서 열린 'K-UAM 콘펙스'에서 관람객들이 현대차의 UAM 콘셉트 모델을 구경하고 있다. <사진=김혜경 기자>

지난 16~17일 영종도에서 열린 'K-UAM 콘펙스'가 막을 내린 가운데 걸음마 단계인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산적합니다.
비행체 개발을 비롯해 착륙장인 버티포트(Vertiport) 건설과 보완절차 수립, UAM 특별법 제정 등 인프라 및 제도 마련도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UAM 산업발전을 위한 '팀 코리아'는 투 트랙으로 구성됐습니다.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SK텔레콤‧한국공항공사로 이뤄진 팀과 현대자동차‧KT‧현대건설‧대한항공‧인천국제공항공사로 구성된 협의체가 UAM 생태계를 이끈다는 계획입니다.

K-UAM 로드맵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2025년 일부 노선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30~2035년 노선을 전면 확대하고, 2040년에는 전면 보편화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초기에는 유인으로 운행한 후 궁극적으로 자율비행, 즉 무인화를 추구할 계획입니다.


UAM은 복잡한 도심에서 지상이 아닌 하늘길을 이용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습니다. 교통연구원과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교통혼잡 비용은 2017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3%에 해당하는 약 59조원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이는 2000년 이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신기술이 사회에 정착하려면 안전성과 사회적 수용성, 경제성 3가지가 모두 확보돼야 합니다.

UAM이 하늘에서 운행된다는 점에서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합니다. 비상 안전장치와 빌딩과의 충돌을 줄이기 위한 공역 확보 등이 핵심입니다. 현재 UAM 운영고도는 300~600m 정도로 고려되고 있는데 헬리콥터 등과 겹치지 않도록 관리 체계 점검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착륙장인 버티포트 구축도 관건입니다.
이용 수요가 많은 지역에 건설해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인천공항공사는 현재 버티포트 최적지와 UAM의 공항 진‧출입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영종도 UAM 행사에서 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비행체가 버티포트에서 안전하게 이착륙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며, 버티포트 최상층부에는 UAM 감시 장치와 시각보조시설도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항공교통 특성상 보안검색은 필수지만 보안 수준을 정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탑승시 안면인식 인증 등이 고려되고 있습니다. 앞서 열린 행사에서 한국공항공사 관계자는 "현재 공항 보안보다는 간소화하는 작업이 필요하겠지만 적절한 보안 수준은 지켜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부는 선진국 대비 기체 개발 기술력은 비교적 약하지만 배터리와 I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운영 측면에서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또 운항 체계 정립을 위해 세계 각국이 움직이는 상황에서 표준화 제정 등 제도적 틈새를 노리겠다는 방침입니다.

현재 미국 연방항공국은 2017년 기체 인증기술 수준을 수립하고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 항공안전청도 2019년부터 인증기준을 개발하고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있습니다.

UAM은 국가 내 도심을 운행하는 비행체이므로 지자체의 역할도 중요합니다. 앞서 인천시는 이번 행사 최대 성과로 국토부가 UAM 산업을 이끌어갈 주체로 지방정부를 인정했다는 점을 꼽았습니다. 또 인천은 LA와의 상호지원협약 체결을 시작으로 파리와 두바이, 싱가포르 5개 도시의 글로벌 협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향후 정부는 UAM 시범운항 지역을 선정합니다. 드론 시범공역 중 일부를 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한 후 시범 운항을 계획 중입니다. 시범운항 지역으로 선정된 지자체는 버티포트를 건설하고, 국토부 주도로 최적의 대상지가 선정될 예정입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