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260억 원 국비 투입...올해 11억 원 확보

지적재조사를 위해 측량하는 모습 <사진 = 인천시>
지적재조사를 위해 측량하는 모습 <사진 = 인천시>


인천시가 일제강점기 토지수탈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종이지적도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합니다.

지적도는 토지의 소재와 경계 등을 구분하기 위해 국가에서 만든 평면 지도입니다.

시는 2030년까지 260억 원의 국비를 투입해 지적재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습니다. 올해는 국비 11억 원을 확보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존 종이지적도는 일제의 토지조사사업(1910~1924년) 당시 제작돼 실제 경계와 일치하지 않아 경계분쟁의 원인이 됐습니다.
재산권 행사에도 제약이 있었습니다. 실제로 인천 전체 66만 필지 중 10%에 해당하는 6만6천여 필지가 지적불부합지로 조사돼 재조사가 시급한 상황입니다.

시는 지적재조사를 통해 정확한 '디지털 지적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4차 산업혁명 신기술과 접목해 활용도를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자율주행차와 사물인터넷, 디지털트윈, 무인드론 등 AI 기반 기술은 학습할 데이터가 정확하고 방대할수록 정교해지는 특성을 보여 시는 활용도가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일례로 인천시가 추진하고 있는 무인항공드론(UAM) 사업도 디지털지적 전환이 완료되면, 탄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UAM이 인천지역의 지형지물과 좌표, 경계를 디지털지적을 통해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는 지난해 11월 롯데지주, 미국 스카이웍스 에어로노틱스. 모비우스에너지 등과 7자 업무협약을 맺고 인천에서 잠실까지 UAM으로 이동할 수 있는 노선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2024년 상용화 비행을 시행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지대환 시 토지정보과장은 "지적재조사를 통해 디지털화한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될 수 있도록 토지소유자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