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송도에서 '스마트 규제샌드박스'성과공유 워크숍...'수요응답형 모빌리티' 현행법상 대중교통 취약지역밖에 운영 못해 인천 스타트업 파크에서 '제1회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 성과공유 워크숍'이 열렸다 <사진=국토교통부> [ 경인방송 = 한현희 기자 ]


인천 송도와 영종도에서 운행 중인
'아이-모드(I-MOD)'와 같은 '수요응답형 모빌리티'의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규제를 대폭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8일 오후 인천 송도 '스타트업파크'에서 국토교통부 주최로 열린 '1회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 성과공유 워크숍'에서 박준식 한국교통연구원 광역교통정책연구센터장은 "교통수요의 다변화로 수요응답 모빌리티가 대중화 추세로 접어들었다"며 이 같이 주장했습니다.

 

박 센터장은 "여객자동차법상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는 농어촌 등 대중교통 취약지역에서 밖에 운영할 수 없지만 현재는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인천 등 대도시에서도 '수요응답 모빌리티'가 운영되고 있다"며 '규제샌드박스' 확대를 제안했습니다.

 

'규제샌드박스'는 기업들이 자율주행 자동차와 드론, AI, 바이오 등 신기술을 활용한 혁신사업을 시도했지만 현행 규제에 막혀 시장 출시가 불가능한 경우 규제를 한시적으로 유예해 주는 제도를 말합니다.

 

지난 2020년 도입된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의 성과를 점검하기 위해 마련된 이날 워크숍에는 인천의 수요응답형 버스서비스인 '아이-모드(I-MOD), 세종시의 커뮤니티형 모빌리티 서비스 '셔클', 대구의 농어촌 특화 모빌리티 서비스 등이 실증 사례로 소개됐습니다.

 

기업으로는 씨엘과 현대자동차, 지엔티솔루션 등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분야 3대 기업이 참여했습니다.

 

먼저 씨엘의 'I-MOD'는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승객이 원하는 버스정류장으로 차량을 호출해 버스 노선과 관계없이 가고 싶은 버스정류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입니다.

 

202010월 영종국제도시에서의 운행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송도국제도시 전 지역에서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1월부터는 검단신도시와 계양1동 일부에서 확대 운영에 들어가 현재 누적 탑승객만 5천여명에 달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승객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차량을 호출하면 경로가 유사한 승객을 함께 태워 최적의 경로로 이동하는 커뮤니티형 모빌리티 서비스인 현대자동차의 '셔클'도 누적 가입자 수가 1년 동안 4294명 증가했고, 누적 이용횟수만 414261회에 달해 호응이 높다고 전했습니다.

 

국토부는 '스마트도시 규제샌드박스'가 도입된 후 현재까지 28건의 실증사업이 승인됐고, 60개 기관이 참여해 2년 동안 156억원의 투자유치 효과를 얻었다고 밝혔습니다.

 

김복환 국토부 도시정책관은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안전성과 효과가 검증된 혁신기술의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겠다"며 "앞으로 스마트 교차로·횡단보도 등 교통안전 시설물과 자율주행 로봇 등의 분야로 제도 개선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