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 수립(2022~2026년)...드론 배달 등 미래 신산업 대비

주소정보 기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이미지 제공= 경기도>
주소정보 기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이미지 제공= 경기도>

앞으로는 별도 주소정보가 없는 지하상가에도 주소가 부여돼 정확한 위치 파악은 물론 실내 내비게이션 앱을 통해 시간 낭비 없이 쉽게 찾아갈 수 있게 됩니다.

경기도는 건물과 도로 중심의 기존 주소체계를 보완하고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등 미래 생태계에 대응하기 위해 건물 지하 내부 시설물과 숲길 등 주소정보를 현재 118만5천여 개에서 두 배 이상으로 확충하는 내용의 '제1차 경기도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2022년~2026년)'을 수립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계획은 지난해 '도로명주소법 전면 개정' 이후 행정안전부가 마련한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에 따른 것입니다.

개정된 도로명주소법은 도로와 건물 중심으로 부여됐던 건물주소를 입체도로(고가, 지하도로), 건물 내부도로, 숲길, 농로 등 도로명이 없는 곳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도는 '제1차 경기도 주소정보 활용 집행계획'에서 '주소로 안전한 경기도, 주소로 편리한 경기도, 주소가 자원인 경기도'를 비전으로 ▲촘촘하게 연결된 국가주소정보 확충 ▲주소지능정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조성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지상도로 중심의 도로구간을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 내부도로(지하상가 등), 건물 실내 이동경로 등으로 나눠 주소정보를 부여합니다.

특히 지하철역 화장실을 비롯해 물품보관함, 소화전 등에 사물주소를 부여해 지하철 화장실에서 응급환자 발생 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고, 경찰과 소방 등 긴급구조기관이 실시간으로 주소정보를 공유해 신고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 인근 산책로와 야외 배달장소 등에 주소정보를 부여해 다양한 출입구에 대한 정보(주차장 출입구, 장애인 출입구 등)를 구축해 주소가 없는 곳에 주소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듭니다.

이렇게 되면 국가지점번호(산악 등 건물이 없는 지역의 위치정보)와 기초번호(도로변 공터 구간을 나눠 설정)를 이용해 등산로에서 응급환자가 발생할 경우에도 신속하게 위치 설명이 가능해지며, 주소가 없어 배달이 곤란한 농가 비닐하우스 등에서도 배달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도는 기존 건물주소 체계에서도 상세주소(도로명주소 뒤에 표시하는 동.호수 등)를 확대해 보행로 내비게이션 등을 사용할 경우 아파트나 상가(단지) 출입구를 넘어 계단(승강기), 복도, 방문 앞까지 안내할 수 있어 자율주행로봇이 무인택배함에서 문 앞까지 택배를 배달해주는 새로운 서비스 도입도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강병규 주소정보팀장은 "주소정보를 확충할수록 드론 배송.로봇 산업.실내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연계성이 강화돼 도민의 생활 편의도 향상할 것"이라며 "디지털시대에 맞는 주소정보 구축을 통해 이를 활용한 메타버스(확장 가상세계), 스마트시티, 자율주행자동차 등 산업 생태계 활성화도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