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 연합뉴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출처= 연합뉴스>



(앵커)

경기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절반 가량은 기간 만료 후 고용이 종료될 수 있는 계약직이며, 이들의 34%는 불분명한 계약 연장 여부로 고용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도내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노동환경을 조사한 결괍니다.

방수빈 기자의 보돕니다.

(기자)

이번 조사는 경기도여성가족재단이 지난 5월 10일부터 22일까지 도내 보육교직원 1천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지난해 8월 제정된 '경기도 보육교직원 권익보호 및 증진을 위한 조례'에 따른 것인데, 도내 보육교직원 노동환경을 전면적으로 조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조사결과를 보면, 응답자 1천97명의 53%인 581명이 기간을 정하고 고용 계약을 체결한 계약직이었고, 계약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가 94%(547명)를 차지했습니다.

계약직 581명에게 고용 계약 기간 만료 후 갱신 가능 여부를 물었더니 66%(385명)만 '교사 희망 시 가능하다'고 답변했습니다.

나머지 34%(196명)는 '원장 재량에 달려서 불확실하다', '모른다', '불가능하다'라고 답하는 등 고용이 불안정한 상태였습니다.

휴식시간은 아이들 배식과 식습관 지도 등으로 제대로 쉬지 못하면서 하루 휴게시간이 평균 34.9분에 불과했습니다.

특히 보육교직원들의 상당수는 신체적 건강문제도 호소했습니다.

입사 1년 이상 보육교직원 747명을 대상으로 업무로 생긴 건강 문제를 조사했는데 허리통증(397명), 상지 근육통(481명), 하지 근육통(404명), 두통·안구 피로(437명) 등을 호소했습니다.

업무로 인한 불안감이나 슬픔, 절망감 등 정식적 문제를 경험했다는 응답자도 300명을 넘었습니다.

부당행위 경험과 관련해서는 폐쇄회로(CC)TV를 통한 감시(195명), 부당 지시(121명), 명예훼손(71명), 폭언(69명) 등의 순으로 많았습니다.

재단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대안을 마련, 도가 수립중인 '제4차 경기도 중장기 보육발전계획'(2023~2027)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중앙정부의 보육교직원 권익 보호 관련 법적 근거 마련 ▲국정과제와 민선8기 경기도 공약에 포함된 '교사 대 아동비율 개선사업' 추진 ▲노동환경 개선을 위한 '보육안내사업 지침' 개정 ▲보육교직원 고충 처리 전담 기구의 기능 강화 등이 골자입니다.

올 현재 도내 전체 보육교직원은 9만2천 명으로, 전국 32만 1천 명의 28%를 차지합니다.

경인방송 방수빈입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