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정원 미달 해결을 위해 교육청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습니다.
조현영 인천시의원(국힘·연수)은 오늘(29일) 열린 시의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2022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학생이 5천176명인데, 입학생은 3천907명으로 약 70%에 불과할 정도로 입학률이 저조한 실정이다"며 이같이 주장했습니다.
조 의원은 "졸업생들의 취업률도 38.2% 수준으로 저조해 특성화고 학생들을 위한 대안과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실제로 인천시 교육청이 2019년 발표한 '인천 특성화고 중장기 혁신방안 연구'에 따르면 응답 학생 2천여 명 중 1천44명인 52%가 '졸업 후 진학과 취업을 병행하겠다'라고 답했고, 그 이유는 '고졸과 대졸과의 임금 차별', '학력 중심 선입견' 등이었습니다.
이종원 시교육청 미래교육국장은 "졸업생들의 취업률을 위해 대한상공회의소와 항공우주산학융합원, 인천재능대 등 지역 유관기관과 협업을 하고 있다"며 "추가적으로 산업구조 개편에 따라 올해 7개 학교에 10개 학과를 재구성했고 혁신형 미래학교 23곳 운영과 직업계고교의 홍보 등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조 의원은 입학률과 취업률 해소를 위해 송도 경제구역 내 특성화고 신설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습니다.
조 의원은 "바이오산업 클러스터가 조성된 송도국제도시에는 특성화고가 없는데, 이곳에 특성화고를 설립하면 입학률 문제 해소와 지역산업 연계를 통한 취업률 해소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송도 내 특성화고 설립을 제안했습니다.
현재 송도경제자유구역 내에는 11개 공구가 있으며 바이오산업을 비롯 첨단산업클러스터, 국제여객터미널 등 다양한 산업이 조성돼있습니다.
그러나 이 국장은 "현재 기존 특성화고를 반도체 고교로 전환하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지만 추가적으로 특성화고나 마이스터고 설립 계획은 없다"며 말했습니다.
- 인천시의회, 송도유원지 일원 '경제자유구역 추가 지정' 제동
- 인천 장애인 자립 지원사업 전년 대비 확대
- 인천시-인하대 '해양환경 보존' 맞손
- 116년 전통 '창영초' 이전, 시민단체-시교육청 '마찰'
- 계양구 '원도심 저층 주거지 집수리 지원사업'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