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인천 전역 재난문자 없어” VS 인천시 “중복 발표는 혼선 빚을 것”

합동참모본부가 인양 중인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 <사진=연합뉴스>
합동참모본부가 인양 중인 '북 주장 우주발사체' 일부. <사진=연합뉴스>

<앵커>

어제(31일) 새벽 북한이 남쪽으로 군 정찰위성을 발사하면서 서해상에는 한 때 긴장감이 고조됐는데요.

'경계경보' 발령부터 정부와 지자체가 손발이 맞지 않아 혼란을 키웠다는 지적입니다.

인천에서도 국가 재난 대응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는데요. 송승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어제 새벽 6시29분 북한이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군산 어청도 인근에 군정찰위성을 발사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곧바로 백령도와 대청도 일대에 적의 공격 예상을 의미하는 경계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주민들에게는 신속히 대피하라는 내용의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했습니다.

경계경보 발령과 긴급 문자메시지 발송은 행안부와 지자체 모두 가능한데요. 오전 8시1분. 행안부가 경계경보 발령을 해제하기까지 1시간30분여 동안 인천시 차원의 별도 발표는 없었습니다.

군 정찰위성이 서해를 향해 발사된 만큼 인천시민에게도 위기상황을 알리는 메시지가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백령·대청도 주민에게 대피하라는 긴급문자 발송이 없었다는 것도 논란입니다.

시는 행안부가 백령도와 대청도를 특정해 경계경보를 발령했고, 인천에 큰 위험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는 입장입니다.

백령·대청도 주민에게 '대피 안내 문자'를 발송하지 않은 것도 이미 관계 공무원들이 대피를 안내하는 상황에서 문자를 발송하면 혼란이 오히려 가중될 우려가 크고, 행안부의 문자발송과 내용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겁니다.

[김학근 / 인천시 경보통제소장]

"행안부에서 문자가 나갔기 때문에 같은 문자가 2번 나가는 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고 같은 문자로 발송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그렇게 판단을 한 거죠"

대피현장에서의 문제점도 드러났습니다. 백령면 진촌2리에 있는 6호 대피소는 사물놀이 연습 장소로 사용하는 동호회가 출입문을 잠궈 공무원들이 문을 개방해주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다른 곳의 경우도 잠금은 해제된 상태였지만 철문이 두꺼워 일부 주민이 대피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습니다. 백령도 내 대피소는 모두 29곳. 이를 관리하는 인력은 기간제 2명과 공무원 1명에 불과합니다.

북한은 오늘(1일) 또 군 정찰위성의 2차 발사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 책임져야 할 지자체의 '안보 컨트롤타워'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는지, 정비가 필요할 때입니다.

경인방송 송승원입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