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률 감소...'데드크로스' 현상 발생하기도"
도, 둘째아 출산지원·사회적 인식 개선 초점

경기도청 광교신청사 야경.<사진출처 = 경기도>
경기도청 광교신청사 야경.<사진출처 = 경기도>

(앵커)

경기도 인구가 1천4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지난 2003년 1천36만 명으로 서울시 인구를 넘어선 뒤 20여 년간 약 400만 명의 인구가 꾸준히 증가한 건데요.

우리나라 인구의 4분의 1이상이 경기도에 살고 있는 셈입니다.

경인방송은 경기도 인구 '1천400만 시대'를 맞아 '경기도 인구의 허와 실'과 '인구 정책' 그리고 '정책 패러다임 전환방안' 등을 살펴보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 번째로 인구는 늘었지만 출생률은 줄어든 경기도의 실상을 보도합니다.

한준석 기잡니다.

(기자)

경기도 인구가 지난 4월 말 기준 1천4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2016년 1천300만 명을 돌파한 지 6년 8개월 만에 100만 명이 증가한 겁니다.

인구감소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경기도는 '남 일'과도 같이 느껴집니다.

하지만 이 같은 인구 증가는 현실 속 왜곡이 있습니다.

출생아 수에서 사망자 수를 뺀 자연인구 증가가 아닌 대규모 택지 개발 등으로 유입 인구가 늘어난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 경기도의 출생률 0.84로 전국 평균 0.78보다 조금 높은 정도입니다.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인구동향조사'에서 경기도에서는 처음으로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아지는 '데드크로스'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이렇다 보니 일부 시군의 경우는 오히려 인구가 줄어들거나 정체되고 있는 현상이 지속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발표된 인구감소 현황에서도 가평·연천군은 인구감소지역로 포천·동두천시는 관심지역으로 분류되기도 했습니다.

이에따라 경기도는 저출생 완화를 위해 둘째아 출생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춘 인구 정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첫째아 출생은 결혼이라는 전제가 필요하지만, 이미 자녀를 낳아서 키우고 있는 가정에 정책지원이 수반된다면 저출생 문제의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섭니다.

이를 위해 불이익이 두려워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는 등의 사회적 인식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선정해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 인구가 줄고 있는 지역에는 규제완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정주 여건 개선에 힘을 쏟을 방침입니다.

[녹취/홍덕수 인구정책 과장]

"아이를 낳고 키우는 가정에 대한 존중, 배려 이런 문화가 선행되지 않으면 현금 서비스만으로 출산률을 높이는게 한계가 있을거라는거죠"

경인방송 한준석입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