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밀억제권역 개선 토론회..."기업들 규제심해 빠져 나가" 조용익 부천시장(앞줄 왼쪽 두번째) 등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의 10개 지자체장이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부천시) [ 경인방송 = 김인완 기자 ]


경기 부천시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지자체들과 수도권정비계획법 개정 및 도시성장을 위한 공동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이날 토론회에서 과밀억제권역에 속해 있는 지자체장들은 "오히려 도시불규형을 초래하는 해묵은 수도권정비법을 조속히 개정해 기업 규제로 무너져 가는 지역경제를 살려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는 부천시를 비롯 수원·고양·광명·구리·성남·안양·의왕·의정부·하남시 등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속하는 10개 지자체가 참여했습니다.


특히 이번 토론회는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국회의원들이 공동으로 주최했으며 김진표 국회의장과 국민의힘·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축사를 건네는 등 수도권정비권 개정 논의에 힘을 보탰습니다.


토론회에서는 현행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과밀억제권역으로 분류된 경기도 14개 지자체들의 고충과 대안 모색이 논의됐습니다. 지역 간 차이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규제로 수도권 내 불균형을 야기하고 있는 현행 수도권정비계획법의 문제점과 노후화된 수도권정비계획법의 패러다임 전환 및 향후 발전 방안 등도 주제로 다뤄졌습니다.


현재 과밀억제권역에서 법인을 설립하면 부동산 취득 중과세 등으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이 다른 권역보다 많이 소용되고 기업이 공장 면적을 넓히기 위해 투자를 늘리려 해도 규제에 막혀 투자를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반면 과밀억제권역 외 지역으로 기업을 이전할 경우에는 법인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지역경제를 지탱했던 기업들이 빠져나가는 바람에 일자리가 줄어들고, 세수가 감소하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됐습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과밀억제권역 내 기업들은 공장총량제, 중과세, 입지 제한 등 3중 족쇄에 묶여 수도권에선 공장 증설과 신설이 지극히 어렵다"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 연구개발 역량과 고급인력을 갖춘 기업들이 과밀억제권역 규제로 성장하는데 제한을 받지 않도록 수도권정비계획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저작권자 © 경인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