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편성한 '성남시 청년기본소득'에 75억 증액해 대조

(앵커)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핵심사업인 RE100 플랫폼 구축 관련 예산 175억 원이 전액 삭감됐습니다.
경기도 추경예산안에 대한 경기도의회 심의 결과인데요.
반면 경기도가 지원을 거부했던 성남시 청년기본소득 사업은 75억 원이 증액돼 대조를 보였습니다.
안은주 기자입니다.
(기자)
경기도의회가 오늘(21일) 본회의(제371회 임시회 제4차)를 열고 경기도(34조796억원)와 경기도교육청(23조1195억원) 추경예산안을 최종 의결했습니다.
의결 결과를 살펴보면, 'RE100 플랫폼' 구축비 175억 원이 전액 삭감됐습니다.
'RE100 플랫폼'은 국내 최초로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한 '기후·에너지 데이터포털'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김동연 경기지사의 역점 사업이지만 도의회 문턱을 넘지 못했습니다.
도의회는 이 사업이 추경을 통해 편성할 만큼 시급성이 있는 사업이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반면, 경기도와 성남시가 갈등을 빚고 있는 청년기본소득 사업비는 증액이 결정됐습니다.
당초 도는 추경에 편성하지 않은 성남시 청년기본소득 사업비 75억 원 증액에 대해 부동의 의사를 밝혀왔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은 만 24세 청년에게 자기계발비 명목으로 분기별 25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앞서 성남시는 지난해 말 올해 본예산을 편성하며 청년기본소득 사업을 폐지하기로 해 경기도가 해당 사업비를 본예산에 편성하지 않았습니다.
이후 성남시가 올해 1월부터 사업을 다시 추진하기로 하면서 도에 추경 편성을 요청했지만 도는 세수 부족을 이유로 거부하면서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경인방송 안은주입니다.
- 황대호 도의원 "경기도 1인당 홍보비 전국 최저수준"
- 경기도, 학교급식 축산물 공급업체 200곳 집중점검
- 경기도 특사경, 위험물 무허가장소 저장 등 불법행위 적발
- 경기도 학생 교육비 다자녀 혜택 조건 완화…'2자녀 가정' 부터
- 박명수 경기도의원, 기초생활수급자 부동산 중개보수 지원 근거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