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어항구 관리 책임을 둘러싼 관계기관들의 '핑퐁게임'으로 북성포구 어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한 때 수도권 최대 어시장이었던 북성포구의 관리권을 놓고 이해관계 기관끼리 떠넘기기 공방이 빚어지면서 어민들의 생계가 막막해졌기 때문인데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윤종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열십(十)자 형태 포구를 따라 늘어선 가판대와 횟집.
시선 끝 바다 쪽에선 갓 잡은 수산물을 사고 파는 '선상 파시(波市·생선 시장)'가 한창입니다.
문학작품에서 '서민의 숨결이 깃든 곳'으로 빈번히 묘사됐던 '북성포구'의 옛 모습입니다.
한때 인천을 대표하는 어항으로 북적였던 '북성포구'. 그러나 이젠 손님 발길이 뚝 끊겨 적막할 정도입니다.
'악취'를 이유로 포구 일부(공유수면 6만4646㎡)를 매립한 게 '어시장 폐쇄'로 와전된데다 최근에는 오염수 방류 논란으로 그나마 남은 단골마저 발길이 뜸해졌기 때문입니다.
매립과 함께 정식 판매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어항구(매립 면적의 10%)'를 지정해 북성포구를 '제2의 소래포구'로 키우겠다던 인천해수청과 인천시, 중구, 동구.
매달 이행강제금을 내며 사실상 '무허가 영업'을 이어오던 어민들은 수도, 전기 하나 없는 열악한 처우가 개선될까 기대를 품었지만 매립이 완료된 지 3년이 되도록 변화는 없습니다.
중구와 동구, 인천해수청이 어항구 지정과 관리 책임을 놓고 '핑퐁 게임'을 벌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 기초단체는 매립 주체인 인천해수청이 어항구 지정과 민원 관리, 어민 보상 등을 총괄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이 땅은 정부 땅인 만큼 지자체가 관련 민원을 해결할 법적 근거가 없고, 공판장 등을 지어도 특혜 논란에 휩싸일 우려가 있어 기존 어민에게 제공할 순 없단 겁니다.
하지만 인천해수청은 2015년 두 기초단체와 체결한 협약서를 토대로 민원 관리 등은 지자체의 소임이라고 맞서고 있습니다.
관계기관들의 책임 돌리기에 결국 어민들의 생계만 더 막막해졌습니다.
[임정민 / 북성·만석포구어업법인 사무국장]
"어민들이 유권해석을 하고 건설까지 다 하겠다고 나서는 상황이니깐요... (소문이 와전되다보니) 악순환만 반복되고..."
경인방송 윤종환입니다.
- '5호선 연장' 무게추 김포로…인천, 가만있다 다 뺏길라?
- 해경, 3천톤급 대형경비함 2척 진수
- 인천 일부 공장·사격장 기준치 초과 토양오염 발견
- 인천 영종도 골프장서 불…중국 국적 70대 중상
- 공장서 화상 입은 60대 한달만에 사망…경찰, 하청업체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