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시가 지역발전의 저해요소로 꼽히는 '도심 내 군사시설'과 '그린벨트' 문제 해결에 팔을 걷어 부치면서 십수년 째 상가건물 하나 없는 인천 계양구 계양역 일대가 개발일로를 걸게 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인천시는 계양구 귤현동 탄약고(503탄약중대 등 포함) 이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군사시설 이전 타당성조사 용역'을 다음 달부터 시작한다고 오늘(26일) 밝혔습니다.
이번 용역은 내후년 4월까지 1년 6개월 간 진행되며 탄약고 이전 후보지 발굴과 대체 시설인 지하형 탄약고 계획 수립, 기존 탄약고 부지의 역세권 개발 타당성 검토 등이 이뤄질 예정입니다.
시는 부평구 제3보급단의 사례처럼 국방부와 기부 대 양여 방식의 협약을 거쳐 탄약고를 이전할 계획입니다. 이번 용역이 그 첫 단계인 셈입니다.
귤현동 탄약고는 1970년대 조성 당시에는 시내 외곽에 있었지만, 개발과 함께 인천의 권역이 대폭 늘어나면서 현재는 도심 한가운데 자리 잡은 ‘지역발전 저해요소’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시설 자체의 면적이 86만㎡에 달할뿐더러 반경 220만㎡ 지역 역시 관련법에 따라 개발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탄약고 반경 범위에 포함된 계양역과 그 일대 200만㎡는 탑승(왕래)인구가 인천에서 세 손가락 안에 꼽히는데도 흔한 상가건물 하나 없는 실정입니다.
최태안 도시계획국장은 "계양역은 인천1호선과 공항철도, GTX-D 등이 지나는 트리플역세권"이라며 "추후 검단신도시 입주가 완료되고, 계양테크노밸리까지 준공되면 서울로 가는 가장 중요한 통로가 되는데 흔한 마트 하나 없다는 건 넌센스"라고 탄약고 이전에 대한 강한 추진 의사를 밝혔습니다.
한편 시는 탄약고 이전과 함께 이곳 일대 '그린벨트 해제'에도 본격 나설 예정입니다. 계양역은 그린벨트 내에 지어진 8개 역사 중 하나여서 군부대 규제와 함께 사실상 '이중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최 국장은 "그린벨트 해제가능총량을 추가적으로 확보하거나 대체 그린벨트를 지정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건의 중"이라며 "그린벨트가 도심 내부의 발전을 저해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습니다.
- '이선균 마약 사건' 관련 유흥업소 여종업원 검찰 송치…필로폰 투약 혐의
- 내년도 인천교육 키워드는 '올결세'...도성훈 "잠재력 성장 및 글로컬 인재 양성 역점"
- 인천 아파트 건설 현장서 추락사…민주노총 '재발 방지 대책' 촉구
- 5호선 연장사업, 인천 불로동 대신 김포 감정동으로?…불로동 주민 반발
- 경인방송 사외이사에 최용주 aSSIST 부총장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