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wait...

늦어도 한 참 늦은 인천의 ‘빅데이터’ 활용 ... 첫발도 시민 편의와 거리
인천 / 경제 / 사회 한만송 (mansong2@ifm.kr) 작성일 : 2017-08-15, 수정일 : 2017-08-15
[ 경인방송 = 한만송 기자 ]

(앵커)


공공서비스에 ‘빅데이터(Big Data)’를 활용하는 사례가 크게 늘어나지만, 인천시의 빅데이터 활용은 걸음마 수준입니다.


인구 300만 시대에 걸 맞는 시민 중심의 행정이 펼쳐지기 위해선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한만송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서울시는 버스의 교통카드 태그 정보를 활용해 승하차 인원을 집계해, 버스 규모에 따라 혼잡도를 시민들에게 알려주는 서비스를 최근 시작했습니다.


서울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상수도관 누수를 2014년에 크게 줄였고, 2013년엔 야간 버스 승하차 인원이 많은 곳을 분석해, 심야 전용 버스인 ‘올빼미버스’를 도입해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서울시는 25개 구청에서 개최하는 200건의 축제 등을 분석해 효율적 축제 계획을 수립할 계획입니다.


서울시와 정부가 시민 편의를 위해 앞 다퉈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을 선보여 좋은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구 300만 도시인 인천의 빅데이터 활용은 아직도 걸음마 수준.


인천시는 빅데이터 분석 사업을 올해에야 겨우 2건 발주했습니다.


‘내외국인 방문 관광지 빅데이터 분석’과 ‘인천시 이슈와 트랜드 분석’ 사업.


시민편의를 위한 빅데이터 사업이라기보다, 행정 위주의 빅데이터 사업입니다.


인천의 빅테이터 사업과 관련해 인력과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것도 문제입니다.


인천의 올해 빅데이터 사업 예산은 2억원에 불과하지만, 경기도는 52억원, 서울 35억원으로 큰 대조를 보입니다.


인력도 인천은 팀 체제로 3명에 불과하지만, 서울과 경기는 10배 정도 많습니다.


인천시는 지난 해 7월 대대적 버스노선을 개편 했지만, 그 동안 여러 차례 노선을 수정해 시민들의 원상을 샀습니다.


시민들의 이해가 충돌하는 버스 노선 개편 사업부터 행정 전 분야에 걸쳐 빅데이터 도입이 시급해 보입니다.


경인방송 한만송입니다.



한만송 mansong2@if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