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wait...

가축질병 남북 공공방역 요구...경기도 "북한 유입 입증 안돼 어려워"
경기 / 사회 한준석 (hjs@ifm.kr) 작성일 : 2018-04-11, 수정일 : 2018-04-11
[ 경인방송 = 한준석 기자 ]

 


(앵커)


남북관계가 급물살을 타면서 말라리아 공동 방역 등 지자체 차원의 질병통제 부문 남북교류사업 재개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축산업계가 구제역과 AI 등 가축질병에 대한 남북 공공방역 시행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한준석 기잡니다.


(기자)


남북 관계가 순풍을 타면서 재개를 준비하고 있는 말라리아 남북공동 방역사업.


북쪽에서 바람을 따라 남하하는 매개모기에 의한 접경지역 주민과 우리 군의 피해 예방을 위해 경기도가 지자체 차원에서 시행하는 사업입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4년간 진행했고 사업 시행 전 2천200여명에 달하던 말라리아 환자 수를 2013년 445명까지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뒀습니다.


도는 이외에도 결핵치료제 지원, 산림병해충 방재사업 등 남북관계 악화로 중단됐던 교류사업을 순차적으로 재개한다는 방침입니다.


그러나 축산업계 관계자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구제역과 AI 등 가축질병에 대한 남북 공공방역은 여전히 추진되지 않고 있습니다.


도 관계자는 "북한으로부터 유입됐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어 사업 추진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현장과 축산업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는 다릅니다.


그동안 국내에서 A형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이번 김포 돼지농장과 지난해 연천의 젖소 농가, 2010년 연천, 포천 한우와 젖소 농가 등 모두 3차례입니다.


정확한 전파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세 차례 발병 사례의 공통점은 북한과 가까운 경기북부 접경지역에서 발생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돼지 A형 구제역은 그동안 중국에서만 발생했고 북한의 축산이 중국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다는 것도 예의주시 할 수 밖에 없는 이윱니다.


[녹취/박광진 경기도양돈지회장]


"남북 교류 활성화를 앞두고 있는 이 시점에서 여러 질병으로 인한 산업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부나 도에서 이런 질병을 미리 차단할 수 있는 예방방역을 실시해야합니다"


돼지 농가의 A형 구제역처럼 북한으로부터의 유입이 확정되지 않았어도 그 개연성이 있는 만큼 공동 역학 조사와 방역이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경인방송 한준석입니다.



한준석 hjs@if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