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영] 09:00 ~ 09:00 |
경기도의소리 김매는 소리(긴소리)
  • 2018-12-19
  • 안병진
  • 조회수 78
  • 댓글 0

[audio wav="http://www.ifm.kr/wp-content/uploads/2018/12/3c57f.wav"][/audio]

 

 

<경기도의 소리> - 3화, 광명농악 김매기 소리 (긴소리)

 

인서트 (#04.연주2 농요- 6‘13“~)

\더위가 시작될 무렵,

푸른 벼 이삭 사이로 군데군데 잡초가 자라납니다.

벼의 성장을 방해하는 잡초를 뽑아주는 것을 김매기라고 하죠.

우리의 두레농악은 김매기에도 함께 했습니다.

 

(소리 듣고)

 

인서트 (#04.연주2 농요- 6‘49“~

“농군들~ / 예~ / 새참도 먹고 논두렁도 밟았으니 초벌 매세“ 까지 살리고)

 

광명 아방리 농요 김매기 소리, 그 시작인 긴소리를 듣고 계십니다.

 

"모를 내고 한 20일 있으면 풀이 무성하게 자라거든요. 

첫번째 김을 매는 것을 초벌맨다고 그래요. 그리고 한달 쯤 지나면 두 벌 매고"

경기도 무형문화재 20호 임웅수 광명농악 보유자의 말입니다. 

 

(논이나 잘 매어나보세~ 까지 듣고)

 

“매어보세 매어나보세 논이나 잘 매어나보세”

농사를, 살아가는 데 가장 큰 근본이라 믿었던 민초들은

이렇게 농악으로 지친 심신을 달래고 고된 농사일을 이겨냈습니다.

 

이제는 그때의 풍경을 그저 소리가 전하고 있을 뿐이죠.

 

우리가 지키지 않으면 사라질지도 모를 소리,

그 소리의 의미를 되새기는 ‘경기도의 소리’였습니다.

 

이 캠페인은 경기도와 경기문화재단 그리고 경인방송이 함께합니다.

이름
비밀번호
captcha 이미지를 클릭하면 새로운 숫자로 변경됩니다.
Youtube 채널